코로나바이러스-19는 우리가 가족을 잃었을 때, 슬퍼하는 방식과 슬픔을 겪는 사람을 돕는 방식까지도 우리 세상의 모든 것을 변화시켰다.

제리 헬름스는 요즘 자전거를 훨씬 더 자주 탄다. 남편이 몇 주 전에 세상을 떠난 이후, 만발한 꽃과 푸른 풀을 보면서 자전거로 동네를 지나는 것은 그녀의 슬픔을 이기는 처방 약이 되었다.
헬름스는 “자연 속에 있을 때, 명상하는 것과 같아요. 마음이 깨끗해져요. 그리고 그 일을 계속하는 것은 나에게 정말 중요해요.”라고 말한다.
코로나바이러스-19는 우리가 사적으로 슬퍼할 수 있는 공간과 세상을 떠난 사랑하는 사람들이 우리의 슬픔에 함께 할 수 있는 공간까지 우리의 틈새를 황폐화하고 있다. 우리는 평소처럼 슬퍼할 수 없다.
테네시주 굿렛츠빌에 있는 코넬기념연합감리교회의 제퍼슨 퍼타도 목사는 “우리는 큰 사회적 실험 속에 살고 있습니다. 이 실험에는 규칙은 없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 그 반응은 사람들이 함께 모이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그렇게 모일 수 없는 것은 100년 만에 처음입니다.”
헬름스의 남편을 포함해 2주 동안 교인 중에서 6명의 죽음을 경험한 퍼타도 목사는 멀리서 위로하는 방법을 놓고 계속 고민하고 있다. 목사로서 그의 역할은 인생의 가장 힘든 순간에 옆에 가까이 서서, 손을 잡고, 안아주는 것이었다. 그는 최근에 죽어가는 교인에게 다가갈 수 없었던 것을 후회했다.

제리 헬름스(앞)는 코로나바이러스-19시기에 죽은 남편, 더그(뒤)의 이야기를 나눈다. 사진 제공, 제리 헬름스.
한 여성의 이야기
헬름스는 그녀의 남편 더그가 의사를 만나는 동안에 의료 센터 주차장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헬름스가 모르는 사이에, 만성 폐색성 폐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 X- 레이를 촬영한 직후, 남편이 땀, 구토, 창백함과 같은 전형적인 심장 마비 증상을 보이기 시작했다. 의료 센터 복도를 지나 응급실로 달려갔지만, 남편은 의식을 잃었다. 그 당시 성공적인 시도로서, 의사들은 헬름스의 남편을 되살리기 위해 10분 동안 노력했다. 그러나 그는 의식을 회복하지 못했다.
더그가 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동안, 헬름스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모른 채 수백 야드 떨어진 차에 앉아 있었다. 두 시간을 기다린 후 그녀는 남편에게 왜 그렇게 오래 걸리는지 물어보기 위해 문자를 보냈다. 그녀에게 전화가 왔고, 병원 관리자가 더그의 의료 보험에 대해 질문하고 있었다.
전화 통화를 끊고 병원 보안소를 지나, 온도 확인을 마치고 서둘러 작은 방으로 향한 헬름스는 남편에게 일어난 믿을 수 없는 이야기를 들었다.
“아이고! 남편을 병원으로 데려가는 것이 전부였습니다.”라고 그녀는 회상한다.
바로 병원 문밖에 있는 주차장에서 밤새도록 기다리는 다른 가족을 남겨둔 채, 헬름스는 마스크와 장갑이 달린 노란색 보호 장구 옷을 입고 혼자서 남편을 위해 임종 결정을 내렸다.
“우리 가족은 남편의 임종에 함께 할 수 없었고, 서로 안거나 함께 울 수 없었습니다.”라고 그녀는 회상한다. “저는 ‘당신이 한 일이 옳다고 생각해요’ 혹은 ‘당신이 하는 일이 잘못됐어요.’라고 말해줄 사람이 그곳에 없었어요.”
가족을 잃고 슬플 때의 조언
-
당신의 영혼에 귀를 기울이고 당신 건강에 좋은 일을 하라. 그것은 자연 속에서 걷거나, 뜨거운 목욕을 하거나, 좋아하는 성경 구절을 읽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 슬픔을 겪는 과정을 함께 할 그룹을 모으라. 오전 3시에도 기꺼이 당신과 대화할 수 있거나 필요하다면 오랫동안 전화에 대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아도 괜찮은 사람을 찾아보라. 같은 날에 여러 번 전화해도 괜찮은 사람을 찾아보라.
-
함께 있는 사람이나 애완동물을 안아주라. 슬픔의 시기에는 포옹이 중요하다. 혼자 사는 사람들에게 애완동물은 사랑을 전해줄 수 있다. 하지만 애착이 가는 동물 인형이나 의미 있는 담요 또는 이불과 같은 물건을 사용하는 것을 망설이지 말라. 맥다니엘은 “그것은 상황을 바꿀 수는 없지만, 신체에 진정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라고 인정한다.
- 최근 기술을 활용하여 다른 사람과 연락을 유지하라.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과 대화하고, 문자를 보내고, 영상 채팅을 하라.
-
당신이 슬퍼할 시간을 가지라. 맥다니엘은 “일반적인 슬픔의 패턴은 일반적으로 2년이 걸린다고 생각됩니다.”라고 말하며 첫해가 가장 슬플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립된 슬픔
헬름스는 고양이 없이 빈 집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머지않아 그녀의 직장 상관은 초인종을 누르고 음식을 전해주었다. 그녀의 목사는 정기적으로 전화 심방을 했다. 옆집 이웃이 잔디를 대신 깎아주었다. 그녀의 주일 학교 교사는 현관에 선물을 남겨두었다.
헬름스는 “주위 사람들은 당신을 기억하고 찾아오고 연락을 합니다. 하지만 가족이 함께하는 것과는 다릅니다.”라고 말한다
테네시주 내슈빌에 있는 벨몬트연합감리교회 교인이며 미들 테네시 심리학자인 테럴 맥다니엘 박사는 “가족을 잃었다는 상실감 외에도, 슬픔에 빠진 사람들에게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 혹은 다른 일이 더 큰 고립감을 줄 수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우리는 새로운 방식으로 슬퍼하고 가족을 잃은 사람의 슬픔을 나누어야 합니다.”라고 그는 말한다.
슬픔에 잠긴 사람들은 건강한 방식으로 슬퍼하는데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확인한 다음 다양한 기술을 사용해 꼭 필요한 다른 사람들과 연락해야 한다.
“저라면 필요한 경우에 아침과 밤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전화 통화, 화상 통화할 것을 주저하지 않습니다. 오전 3시에 전화해도 기꺼이 기쁘게 받아줄 사람을 찾을 것입니다.”라고 맥다니엘은 말한다.
“내가 믿을 수 있는 사람, 이 슬픔을 함께 나눌만큼 나를 사랑하는 사람을 결정할 것입니다.”
헬름스를 도울 사람은 많고, 그녀의 남편은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러나 장례식과 같은 모임이 10명 이하로 제한되는 코로나바이러스 시대에는 그것조차도 도전이 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남편은 친구와 다른 주의 가족이 너무 많습니다. 그 10명이 선택하는 짐을 지고 싶지 않아요.”라고 헬름스는 말한다.
추도 예배는 나중에 열기로 결정했다.
슬픔에 잠긴 사랑하는 사람을 돕는 방법
-
함께 있으라. 당사자가 말하고 슬퍼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라. 맥다니엘은 “함께 하는 것은 과소 평가되고 조언은 과대 평가됩니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사회적 거리를 두어야 하는 코로나바이러스-19시대에 함께 있는 것은 더욱 의미가 있다.
-
음식을 가져가거나 레스토랑 상품권을 보내라.
-
슬픔에 잠긴 사람에게 다른 사람이 그들을 걱정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카드나 편지를 보내라.
-
전화를 걸라. 그 사람을 잘 아는 경우, 가까운 친구들이 함께 전화해 차례로 전화하도록 조직하라.
-
기억하라. 사랑하는 사람이 사망한 지 6개월이 되는 기념일을 달력에 표시하라. 시간이 지나고 새로운 정상적인 삶을 살게 되더라도, 슬픔이 계속되기 때문에 몇 달 후에 연락하는 것은 중요하다.
슬픔의 고통 중에 교회가 중요한 이유
코넬기념연합감리교회의 사람들은 계속해서 헬름스를 도울 것이다. 그녀는 많은 친구를 가진 활동적인 교인이다. 그러나 이처럼 끈끈한 네트워크가 없는 사람들을 위해 맥다니엘은 교회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곳이라고 말한다. 그는 교회에 다니지 않는 사람들은 참석할 교회를 찾고, 또 그 교회는 그들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맥다니엘은 “이것은 신념이나 교회에 참석에 관한 것이 아니라 사람이 서로 연결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라고 설명한다. 심리학자들은 교회에 관여하는 것이 중요한 서포트 시스템을 제공하고 장점으로 간주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지금은 우리가 교회에 의지해야 할 때입니다.”라고 그는 말하며, 목회자, 스테판 사역(평신도 중심의 목회적 돌봄 사역) 및 다른 교회 지도자들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목회적 돌봄을 제공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새로운 일상생활을 찾기
자전거를 타는 것 외에도 헬름스의 자기 케어 요법은 정원에서 일하고 치료사와 더 자주 대화하는 것이 포함되며, 이는 현재 배우자 없이 내려야 하는 많은 결정을 돕고 있다고 말합니다. 또한 하나님과 대화하는 시간도 많아졌다.
그녀는 일상생활이 된 것을 다시 이야기하면서 “하나님이 나를 위해 일하시는 것을 보며, 오늘 아침에도 그러셨습니다. ‘하나님, 제가 필요한 서류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고 말하면, 제가 이미 살펴본 곳에서 몇 분 안에 제가 찾는 서류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저는 그것이 성령의 역사라 생각합니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그리고 거기에서 나를 위한 하나님을 봅니다.”
위의 조언은 테럴 맥다니엘 박사와 제퍼슨 퍼타도 목사와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크리스털 캔버스는 연합감리교회 공보부에서 UMC.org에서 일하고 있다. 이메일이나 615-742-5138로 연락할 수 있다.
오천의 목사는 한인/아시아인 리더 자료를 담당하고 있는 연합감리교회 정회원 목사이다. [email protected]나 615) 742-5457로 연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