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감을 빌려주는 수 폴스 연합감리교회

사진: 팔라비 곤다네, 언스플레쉬.
사진: 팔라비 곤다네, 언스플레쉬.

사우스다코다의 장난감 대여 도서관은 사우스다코다주 수 폴스의 제일연합감리교회와의 파트너십 덕분에 새로운 장소로 옮기었고 더 많은 사람이 방문하게 되었다. 

제일연합감리교회에서 사역 파트너십을 담당하는 타미 프로스트롤로(Tami Prostrollo)는 “제일연합감리교회의 비전 선언문은 ‘수 폴스 중심부에서 기독교인의 희망, 사랑, 격려의 안식처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사역에서 지역 사회 단체와 협력하기를 원합니다. 사우스다코다의 장난감 대여 도서관이 한 예입니다.”라고 말한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회 자료의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장난감으로 가득 찬 선반

누구든지 제일연합감리교회 내의 도서관에서 장난감을 대여할 수 있다. 교회는 또한 연간 1달러에 사우스다코다의 장난감 대여 도서관 운영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교인은 공과금과 컴퓨터 네트워크를 사용하도록 지원한다.

“어느 날 어낼리스(Anelis Coscioni)가 교회로 들어와 사용할 공간이 있는지 물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1년에 1달러에 장난감 대여 도서관을 위한 공간을 제공했습니다. 그들의 목표는 수 폴스 지역사회와 그 너머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우리의 목표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이미 그들이 하는 일을 다시 하느라 쓸데없이 시간을 낭비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들은 지역사회 지향적입니다.”라고 프로스트롤로씨는 말했다.

사우스다코다의 장난감 대여 도서관은 다른 지역사회로 확장하고 있다. “그들은 아이들의 삶에 변화를 주고 아이들의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위해 사우스다코다 전역의 지역사회에 손을 내밀고 있습니다. 그들의 범위는 수 폴스를 넘어 다른 문화와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까지 확장됩니다.”라고 프로스트롤로은 말했다.

장난감 대출 도서관의 직원인 그렉 우드(Greg Wood)는 “우리는 수 폴스에서 세 곳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교회의 방 중 하나에서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교회 소속 유치원이 문을 닫았을 때 여러 방으로 이사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훌륭합니다. 우리는 축복받았습니다. 이 연합감리교회는 정말 대단합니다.”라고 말했다.

수 폴스 제일연합감리교회에서 유나이티드 어린이집을 자체 운영했지만, 2022년 가을에 문을 닫았고 현재 장난감 대여 도서관의 자리가 공석이 되었다. 

“우리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공간은 실제로 모든 일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우리는 여기 이 장소에서 모든 상자를 만들고 레이블을 분류하고 처리합니다. 상자가 반환되면 장난감을 세척하고 살균합니다. 장난감을 수리합니다. 우리는 항상 장난감 리콜 여부를 확인합니다. 우리는 또한 장난감 상자를 재활용합니다. 때로는 상자가 오래된 것도 있습니다. 너무 오래되어서, 누구도 그것을 빌려 가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라고 우즈는 말했다.

제일연합감리교회의 장난감 대여 도서관은 신생아부터 5세까지의 어린이가 놀이를 통해 학습 발달을 향상할 기회를 제공한다.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한가? 사우스다코다에 있는 해당 연령 그룹의 어린이의 돌보미들은 주로 도서관을 비롯한 14개 장소 중 한곳에서 장난감, 책, 교육 전단지가 들어 있는 장난감 상자를 무료로 빌릴 수 있다. 그들은 상자를 집으로 가져가 아이들이 가지고 논다. 그런 다음 반납하고 더 빌리기도 한다.

장난감을 소독

타라(Tara)와 앤서니(Anthonee)는 장난감 대여 도서관에서 장난감과 상자를 분류, 세척 및 소독한다.

장난감을 구매하는 것보다 빌리는 것의 편리함, 지속 가능성, 비용 절감 등의 이점을 부모들이 깨닫고 장난감 도서관은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다. 미국 장난감 대여 협회(USA Toy Lending Association)에 따르면 미국에는 약 400개의 장난감 대여 도서관이있다.

어낼리스 코쇼니(Anelis Coscioni)는 지역에서 장난감 대여에 대한 요구가 있다는 걸 알게 된 후 2015년에 장난감 대여 도서관을 시작하기 위해 수 폴스의 국제 직업 여성회(Soroptimist Club)와 함께 일했다. 수 폴스 도심 지역의 몇몇 가족은 아이들이 놀고 배울 수 있는 장난감이 없었다. 브라질 출신의 전직 수의사는 비영리 단체의 문을 통해 오는 돌보미와 어린이를 만나는 것을 좋아한다.

코쇼니는 최근 뉴스레터에서 “우리의 비전은 사우스다코다주 내의 여러 장소로 확장하는 것이며, 2015년 조직이 시작된 이래로 사람들이 우리 장난감 상자를 16,000번 이상 빌리거나 갱신하였습니다.”라고 말했다.

중고 또는 새 장난감을 기부할 수 있다. 자원봉사자들은 기증된 모든 물품의 리콜 여부를 확인하고 도서관에서 빌려주는 각 장난감을 소독한다. 현재 1,100개 이상의 장난감 상자가 사용되고 있다.

“우리는 잘 사용된 장난감, 새 장난감, 기부금, 기부를 환영합니다. 우리는 사람들이 빌려 가고 싶은 상자를 만들고 아이들의 학습발달에 도움을 줍니다.”라고 우드는 말한다.

모든 상자는 세 면에 라벨이 붙어 있다. 그렉 우드는 장난감 상자의 사진을 찍고 글과 숫자 코드로 각 항목을 분류한다. 0세부터 5세 이상까지 8가지 연령 범주가 있다. 상자는 청각, 색상, 의사소통, 협력 놀이, 미세 운동, 대근육 운동, 독립 놀이, 문자, 기억 번호, 신체, 가상 놀이, 순서 지정, 모양 및 사회적 기술과 같은 기술 영역으로도 분류된다. 또 다른 자원봉사자인 리처드 크로퍼드(Richard Crawford)는 각 장난감 상자에 점자 라벨을 만든다.

엔드린 스티쳐스(Andrine Stichers)는 자원봉사자로 기부금을 관리한다. 그녀는 각 기부금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기록하고 감사 편지를 보낸다.

엔드린은 “제 일 중 하나가 프린터가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는 스스로를 프린터 카이보이라고 부릅니다. 저는 어낼리스가 시키는 일이라면 무엇이든 합니다. 이제 유급 직원이 있어서 감사합니다. 이사인 어낼리스, 상자를 만드는 그렉, 그리고 운영 이사인 타라 슈람(Tara Schramm)입니다.”라고 말했다.

슈람과 앤서니 및 기타 자원봉사자들과 협력하여 각각 반환된 상자를 처리하고, 수리 여부를 확인하고, 각 상자의 속 장난감을 청소하고, 상자를 반납할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그런 다음 “준비된” 상자는 개인 고객 또는 분점 중 하나에서 빌려 갈 수 있도록 배치된다.

컴퓨터로 장난감을 추적

엔드린 스티쳐스는 수 폴스의 제일연합감리교회 있는 장난감 대여 도서관 데이터베이스에서 기부자와 기부금을 관리한다.

“지금 상황이 하늘을 찌르고 있습니다. 이 공간을 통해 자원봉사자 수, 장난감 상자 수 및 도서관의 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 지금은 신나는 시간입니다. 많이 성장했습니다.”라고 슈람은 말한다.

제일연합감리교회의 공간은 기부금 수령, 새 상자 만들기, 장난감 세척, 장난감 처리, 상자 대여 및 반납 등 모든 일이 한 곳에서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새로운 세탁기와 건조기가 설치되었다.

매월 제일연합감리교회는 파트너 사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기부금을 모으기 위해 파트너 사역을 교인에게 소개한다. 4월의 ‘605 사랑하기’는 장난감 대여 도서관(Toy Lending Library)이었다. 장난감 대여 도서관은 제일연합감리교회 교인을 위한 오픈하우스를 개최했다. 제일연합감리교회 교인은 장난감 세탁소를 위한 기금을 모으고 교인이 장난감 대여 도서관에서 자원봉사를 하도록 독려했다. 또한 제일연합감리교회의 여선교회의 봄철 놀이의 수익금은 장난감 대여 도서관에 기부되었다.

프로스트롤로는 “장난감 도서관이 성장을 보는 것은 기쁜 일입니다. 이 사역은 다른 교회들이 참여해 기부할 수 있고, 상자를 대여할 장소를 제공하고, 수 폴스에서 다른 장소로 상자를 운반할 수 있는 사역입니다. 우리는 이 사역 파트너십에 대해 기뻐하고있 습니다.”라고 말한다.

영문으로 읽기(Read in English)

다코다연회에 기재된 글이다. 

오천의 목사는 한인/아시아인 리더 자료를 담당하고 있는 연합감리교회 정회원 목사이다. [email protected]나 615) 742-5457로 연락할 수 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