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임원회의 목적

사진: 조 월렌, 조나단 웰스, 언스플레쉬; 줄리아 카메론, 픽셀스.
사진: 조 월렌, 조나단 웰스, 언스플레쉬; 줄리아 카메론, 픽셀스.

교회의 치리와 사역에 있어서 민주주의를 따르는 연합감리교회는 다른 어느 교단보다 회의가 많다. 가끔 목회하는 건지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목회를 하는 건지 헷갈릴 때도 있다.

또한 타인종 목회를 하는 경우, 교인들을 살펴보면, 주일 예배에는 잘 참석하지 않지만, 자기가 맡은 위원회의 회의는 꼬박꼬박참석하는 걸 볼 수 있다. 그만큼 목회자에게나 교인들에게 회의가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과연 회의의 목적은 무엇일까? 한 달에 한 번씩은 모여 꼭 모이며, 지역교회의 가장 기초가 되는 교회 임원회의 목적은 무엇일까? 대부분의 경우, 임원회의 목적은 임원회에 참석한 각 부서의 대표들이 다른 임원들에게 부서별로 지난달 어떤 일이 있었으며, 현재 재정은 어떤지, 또 다음 달 어떤 일을 할지에 대한 보고를 한다. 그리고 목회자는 기도로 마무리하며 임원회는 마치게 된다. 마치 임원회는 보고를 위한, 보고에 의한 회의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참 많다.

임원회의 목적

놀랍게도 임원회의 목적은 교회의 부서별로 보고하는 자리가 아니다. 장정 ¶ 252에 따르면 임원회의 목적은 그 교회에서 (교인의 신앙) “양육 프로그램, 봉사, 전도, 간증과 자료들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목적”을 가진다. 즉 교인들의 신앙이 자랄 수 있는지, 지역사회에서 교회의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은 어디인지, 어떻게 교회가 밖으로 나가 그리스도의 사랑을 지역 주민에게 전해야하는지, 또 자신의 신앙을 고백해야 하는지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목적을 가진다. 

임원회의 임무

연합감리교회의 임원회는 또한 선교와 사역에 대한 임무를 가진다. 한 달에 한 번 모여서 테이블에 앉아 각 위원회의 보고를 승인하는 교회의 권력 기구가 아니라, 교회가 선교와 사역에 최선을 다하도록 돕는 임무를 가진다.

  • 양육사역(Nurturing Ministry) - 임원회는 교회 전반에 걸친 교육, 예배, 소그룹을 통해 교인의 신앙이 성장하는 사역을 해야 하며, 또 교인을 돌보고, 교인 개개인이 청지기로서 직분을 감당하도록 도와야 한다. 이 모든 양육은 모든 연령대를 위해야 하고 개인과 가족의 특수 상황도 고려해야한다.
  • 대외선교사역(Outreach Ministries) - 임원회는 지역사회와 이를 넘어 자선, 정의, 옹호 사역에 대해 주의를 기울인다. 임원회는 지역 사회의 문제, 미국의 문제, 세계 선교, 대학생 선교, 보건 복지, 종교 간의 관심 종교와 인종, 여성의 지위까지 다양하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증거사역 - 임원회는 교인의 체험과 자신의 신앙 간증을 나누며 전도에 노력하고 이를 돕고 개발하는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평신도 사역직(Lay Servant Ministry), 즉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사역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지도자를 발굴하고 준비시키는 일을 해야 한다. 

양육과 선교, 그리고 증거 사약을 위해서, 임원회는 교인들에게 기도를 장려하도록 하는 기도부장이 필요하며, 기도를 위한 기도실과 기도 관련 자료가 필요하다. 

임원회 회기

임원회는 적어도 분기에 한 번씩은 회의해야 한다. 임원회의 소집은 임원회장 또는 담임목사가 소집할 수 있다. 

임원회는 개 “교회의 선교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모일 때마다 먼저 양육사역, 대외선교사역과 증거사역과 관련된 안건을 먼저 다루고,” 그다음에 교회의 행정적인 문제와 다른 부수적인 문제를 다룰 것을 권고한다. 

임원회의 다른 책임들

  1. 각 교회의 입교인의 자격을 검토한다. 
  2. 일 년에 한 번 열리는 구역회 사이에 임원의 공석을 채운다.
  3. 재정부의 추천을 받아 예산을 결정하고, 예산의 확보를 위해 적절한 조치를 한다.
  4. 목회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목회자와 교회 직원의 사례비를 정하고 구역회에 추천한다. 
  5. 목회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목사 사택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구역회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는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회 자료의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임원회의 회원들

임원회의 회원 수는 구역회에서 결정한다. 다만 임원회의 회원을 결정할 때도 행정 업무를 잘하고 뛰어난 교인이 아니라, 교회의 선교와 사역에 종사(Involved)하는 지도자여야 한다. 임원회의 회원은 최소 11명이나 구역회에서 필요한 만큼 더할 수 있다. 

  1. 교회임원회 회장
  2. 평신도대표
  3. 목회위원회 위원장(대표)
  4. 재정위원회 위원장(대표)
  5. 재단이사회 위원장(대표)
  6. 교회회계
  7. 연회평신도회원
  8. 연합감리교회 남선교회 회장(대표)
  9. 연합감리교회 여선교회 회장(대표)
  10. 청장년 대표
  11. 청소년 대표(중고등부 대표)
  12. 목사(들)

임원회의 의사 결정

임원회 회의를 열기 위해서 또 투표해서 안건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임원회는 정족수를 따른다.

원래 연합감리교회는 앉아서 회의하고 보고 받는 정적인 교회가 아니라 개인 신앙의 성장과 이웃 사랑을 실천하려는 동적인 교회이다. 또한 교인 개인의 성화뿐만 아니라 교회가 속한 지역사회의 성화까지 목표로 하는 교회이다. 그리고 이는 분명히 연합감리교 장정 속 임원회의 목적과 임무에서 나타난다. 모든 연합감리교회가 특히 교회의 지도자들이 모이는 임원회가 원래의 목적과 임무를기억하고 실천해야겠다. 

오천의 목사는 한인/아시아인 리더 자료를 담당하고 있는 연합감리교회 정회원 목사이다. [email protected]나 615) 742-5457로 연락할 수 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