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목협 재정지원 신청을 위한 자료
연합감리교회 총회 한인목회강화협의회는 한인연합감리교회와 연합감리교회 내 한인 목회자와 평신도, 차세대 사역을 돕기 위해 교단총회가 설립한 기관입니다. 한목협은 1년에 두번 재정지원 신청서를 받아, 자금지원심사위원회 Funding Review Committee의 심사와 총회 세계선교부의 재정심사 과정을 거쳐 1년에 각각 한번 씩 열리는 정기회의와 실행위원회 결의를 거쳐 재정지원을 집행하고 있습니다.
재정지원 신청마감: 매년 1/5 봄, 9/5 가을
Funding Guidelines for 2017-2020
자금 신청을 위한 지침
The United Methodist (UM) Council on Korean Ministries was established by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in 2000, for the strengthening of Korean Ministries within and outside of the church. For its fifth quadrennium, the Fund will be supported in the 2017-2020 quadrennium with approximately 3 million dollars. The Fund is administered by the UM Council on Korean Ministries, under the administrative service of the General Board of Global Ministries, on behalf of the UM Church. The following guidelines and procedures were established by The UM Council on Korean Ministries as a reference guide for projects seeking funding:
한인목회강화협의회는 연합감리교 교회 안팎의 한인목회의 강화를 위해서 2000년 총회에서 설립되었습니다. 제 5회기인 2017년에서 2020년까지의4년간 목회강화협의회의 기금은 실제로 대략 3 백만불정도를 보조 받게됩니다. 이기금은 연합감리교회를 대표해서 세계선교부(GBGM)의 행정적 지원하에 한인목회강화협의회가 관리운영하게 됩니다. 아래의 신청지침(가이드라인)과 절차는 프로젝트 자금 신청시 참조를 위해 한인목회강화협의회가 정하였습니다.
I. Eligibility to Apply( 신청 자격 조건)
Consideration for funding will be given to projects submitted by the following types of organizations: 기금을 위한 신청자격조건은 아래의 성격을 가진 기관들입니다.
United Methodist local churches
연합감리교회의 소속 개체교회
Clusters of United Methodist local churches
연합감리교회의 클러스터
United Methodist Jurisdictions, Annual Conferences & Districts
연합감리교회의 지역총회, 연회, 지방회
UM Caucuses within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연합감리교회의 한인 코커스들 (예. 한인총회, 여교역자회, 다인종 목회 등.)
United Methodist Seminaries
연합감리교의 신학교
The project and the sponsoring organization must be locat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five United Methodist geographical jurisdictions within the United States and of the Central Conferences.
프로젝트와 이를 후원하는 단체는5개 연합감리교 지역총회(미국내)와 Central Conferences지역 범위안에 위치하고 있어야 합니다.
II. Funding Policies (기금 위한 방침들)
A project is funded for an annual basis even when it is a multiple year project
프로젝트가 다수년의 성격을 지니더라도 자금지원은 매해 일년단위를 기준으로 합니다.
Funding is not provided for: (아래와 같은 경우는 기금이 제공되지않습니다.)
The operating expenses of caucuses or organizations
코커스나 단체의 일상운영자금을 위해 신청한 경우
Purchase of land or other real property
토지나 다른 형태의부동산 매입위해 신청한 경우
Construction or capital improvement of facilities
건축 혹은 공사를 위해 신청한 경우
Purchase of or maintenance of vehicles or heavy mechanical equipment
차량구입비나 차량 정비비 또는 장비를 구입할 목적으로 신청한경우
Groups that have demonstrated "unhealthy" financial practices
부실한 재정운영을 하는 단체로 판단될경우
Projects rather than organizations are funded
일정한 단체에 자금이 지원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프로젝트(목회관련 사업)에 자금이 제공되어질것입니다.
Programs are funded rather than grants being given
보조금이 제공되기 보다는 프로그램위한 자금이 제공되어질것입니다.
III. Allocation of Funds: (기금 할당 비율)
In general, the funds available are granted annually in the following proportions:
일반적으로 아래의 4가지의 핵심사역 분야 위해 기금은 아래의 비율로 매년 수여될 것입니다.
35% - Congregational Development (including new church starts)
교회성장 및 발전 ( 개척교회 포함)
30% - Leadership Development
지도자 양성
25% - Next Generation Ministries
차세대 사역
10% - Justice related Advocacy/Global Partnership
정의관련/글로벌 파트너쉽
IV. Conditions for Receiving Funding (기금을 받는 조건)
The organization applying for funding must agree to:
기금을 신청한 신청자들은 아래사항을 반드시 동의 하여야 합니다.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monitoring the project
프로젝트의 평가와 모니터링의 과정에 참여.
Provide annual reports detailing how funds are being utilized on their progress
매년마다 기금의 사용용도와 프로젝트 진척 상황을 보고서로 작성 제출.
Provide at the end of each fiscal year, a detailed financial report and/or an audit report of the finances of the project
매년 년말 사업계획에 관한 회계보고서와 재정 보고서의 제출.
V. Deadlines (원서 마감일)
The appropriate application should be carefully prepared and submitted by one of the following deadlines: 내용이 충실한 지원서는 정성껏 준비되고 검토된 후 아래의 마감날짜를 기준으로 제출하여야 합니다.
January 5 - 1월5일 까지
September 5 - 9월 5일 까지
Applications postmarked after the deadline date will not be processed.
우편물의 명시되어진 날짜가 원서마감일을 넘기면 기금 신청서는 검토되지 않습니다.
VI. Languages (작성 언어)
The application form must be completed either bilingually (in English AND Korean) or in English. If you are in urgent need for assistance in English translation, please fill out the form in Korean and request for translation service to the KMP Office.
지원서 작성은 영문 혹은 한/영 이중언어 사용이 원칙이며, 이 것이 어려울 경우, 한국어로 작성한 후, 한목협 사무실에 영문번역을 요청해 주기 바랍니다.
웹사이트 첨부자료
1. 재정지원 가이드라인 Funding Guideline 2017-2020
2. 교회개척 재정지원 신청서 Funding Application Template
3. 프로젝트 재정지원 신청서 Project Application Template
4. 전략, 재정, 평가계획서 Strategies and Benchmarks
올린날: 2018년 10월 1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