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와 함께 기도하는 다섯 가지 방법

사진: 조슈에 미헬, 언스플레쉬.
사진: 조슈에 미헬, 언스플레쉬.

아이들은 단순하지만, 심오한 방식으로 세상을 경험한다. 많은 어른이 ‘잊고 있는’ 방식인 놀이, 미술, 춤, 게임, 접촉, 웃음이 그 예이다. 아래는 아이들과 함께 기도하고 어른들은 더 신실한 기도를 위한 신선하고 새로운 방법을 재발견할 수 있는 몇 가지 창의적인 방법을 나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회 자료의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1. 기도 공: 흔히 가정집에서 가지고 있는 비치볼이나 탱탱볼을 준비해서 자녀와 함께 애완동물, 친구 등 기도 제목에 대해 그림을 그려보라. 나이가 많을수록 아이들은 친구, 가족 또는 전 세계를 위한 기도 제목을 쓸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로에게 비치볼(탱탱볼)을 던지고, 누군가 그 공을 잡았을 때, 그림을 위해 기도하거나 엄지손가락으로 만진 단어를 위해 기도할 수 있다. 또 다른 옵션은 지구본 비치볼을 찾아서 서로에게 던지며 엄지손가락으로 만진 나라를 위해 기도하는 것이다.

2. 기도 돌멩이: 아이들은 색칠하는 것을 좋아하고 자연에서 발견하는 것을 좋아하므로 두 가지를 결합해 보라! 산책하면서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돌을 찾아보라. 그런 다음 색깔 분필과 인형 눈을 가지고 바위를 장식해 보라. 아이들의 창의력을 마음껏 발휘하도록 하라. 그런 다음 기도 산책을 나아가 이 돌들을 공공장소에 두고 누구든지 이 돌을 보게 될 사람을 위해 함께 기도하라. 아니면 기도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기도의 돌을 줄 수도 있다.

3. 밤과 아침 기도: 아이들에게 규칙적 일상은 중요하므로 아이들의 일과에 기도 시간을 만들라. 그들에게 무엇에 관해 기도하고 싶은지 물어보고 또 들어본다. 이 일상 기도는 자녀의 생각과 마음에 무엇이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심오한 방법이다.

4. 구급차 기도: 구급차, 경찰차, 소방차 소리가 들릴 때마다 하던 일을 멈추고 기도하는 전통을 시작하라.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러한 기도 시간을 일상의 일부로 만들고 아이들이 어떻게 스스로 반응하는 것에 놀라게 될 것이다.

5. 기도 묵주: 아이들은 촉각을 잘 사용하며 기도 묵주는 이를 위한 훌륭한 기도 활동일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기도의 증표로 들고 다닐 수 있기도 하다. 아이들 스스로 나무 구슬과 끈을 선택하도록 하라. 페인트 펜이나 유성 마커를 이용해서 기도하고 싶은 대상으로 나무 구슬에 장식하라. 그런 다음 열쇠고리를 이용해 배낭에 구슬 묵주를 달거나 팔찌나 목걸이를 만들게 하라. 아이들은 또한 가족과 친구들이 자신들을 위해 기도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기도 묵주 만드는 것을 좋아할 것이다.

실제로 우리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기도에 관해 가르쳐야 할 것이 너무 많다. 아이들이 놀고, 만들고, 공유하는 방식으로 기도에 의도적으로 참여하도록 격려하면 된다.

기도에는 ‘올바른 방법’이 없다는 것을 어린이들과 우리 자신에게 알려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기도는 단순히 이 세상에서 우리를 가장 사랑하시는 하나님과 대화하는 것이다. 아이들은 본질적으로 기도를 ‘얻는’ 것으로 본다는 것을 기억하라. 안타깝게도 어른들이 기도를 복잡하게 만드는 것 같다. 그러니 아이들이 어떻게 기도하는지 들어보라. 그들의 기도는 대개 단순하면서도 아주 정직하다. 그리고 기도가 ‘이상하다’라거나 자녀와 함께 기도하는 것이 어색하다고 느껴진다면 솔직하게 말하라. 기도는 중요하지만 다소 두려운 일이므로 그들과 함께 배우고 싶다는 사실을 알려주라!

영문으로 읽기(Read in English)

티파니 홀럼스(Tiffany Hollums)는 연합감리교회의 목사이자 작가이다. 그녀는 20년 이상의 청소년 및/또는 어린이 사역 경험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 사역과 위탁 가정 사역 치료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하지만 그녀가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역할은 어머니, 아내, 딸, 자매, 친구이다. 아픈 사람들이나 신생아들을 위한 사역으로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 담요를 뜨개질하지 않을 때면 그녀는 중고등부 교재를 집필하고 에스프레소 커피를 마신다. 그녀는 남편, 딸, 개, 가족과 함께 뉴멕시코에 살고 있다.

오천의 목사는 한인/아시아인 리더 자료를 담당하고 있는 연합감리교회 정회원 목사이다. [email protected]나 615) 742-5457로  연락할 수 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