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기찬 소규모 교회 사역을 위한 4가지 핵심 교훈

사진: 조엘 무니즈, 언스플레쉬.
사진: 조엘 무니즈, 언스플레쉬.

틈새시장을 찾고, 평신도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외부에 집중하고, 협력하는 데 의도적인 작은 교회는 큰 교회만큼 중요할 수 있다.

데이비드 길모어(David Gilmore)는 교회의 크기가 지역주민과 관계를 맺는 능력에 있어서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라고 말한다. 틈새시장을 찾고, 평신도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외부에 집중하고, 협력하는 데 의도적인 작은 교회는 큰 교회만큼 중요할 수 있다.


교회의 규모가 선교 사역을 수행할 수 있는 교회의 능력인 것처럼 여겨지는 것 같다. 그러나 진실은 교회 규모가 결코 장애물이나핑계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소규모 교회는 교회 안팎의 사람들의 영적, 육체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활기찬 사역을 할 수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마법적인 공식은 없지만, 여기 본인이 아는 교회에서 얻은 몇 가지 교훈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개별 교회는 단독 사역으로 영향력을 가질 수 없으며, 지역 사회의 다른 사람들과 협력함으로써 그렇게 할 수 있다. 목표는 우리 교회 사역이 중점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회 자료의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1. 모든사람에게모든것을제공할없다

사실, 어떤 교회도 규모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소규모 교회가 은사와 자원을 가장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이것은 교회 상황이 결코 바뀌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선교에의도적으로 초점을 두라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미주리주 버크너에 있는 오클랜드 연합감리교회 교인들은 자신을 너무 가늘게퍼뜨리면 사역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이 교회는 사람들의 직접적인 필요를 채우는 데 전념하는 비영리단체인 버크너 지역봉사연맹(Community Services League of Buckner)에서 자세히 설명한 대로 지역 사회가 필요로 하는 것에더 집중한다. 교회는 지역 사회의 요구에 대한 이러한 지식을 교인의 열정과 은사와 결합하여 틈새시장을 찾아야 한다. 이 접근방식을 통해 교회는 자신을 너무 가늘게 퍼뜨리거나 고유한 은사와 열정을 벗어난 일을 하지 않고도 전인적인 필요를 해결하고신앙 공동체에 의미와 적절성을 제공할 수 있다.

2. 평신도를준비시키고권한을부여한다.

“목회자 단독 쇼”라는 아이디어는 일반적으로 소진으로 이어지고 전체 교회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많은 소규모 교회에서 평신도는 신앙 공동체를 이끄는 엔진이다. 이것은 목회자의 역할을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평신도가 교회의 사명을 이루기 위해 자신의 은사를 사용해야 한다는 인식이다. 평신도가 사역을 위해 그들의 은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것은 영성 훈련이라 바라보고 평신도가 영적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평신도가 교회 안팎에서 그들의 은사를 나눌기회를 주는 것을 의미한다.

3. 지역사회에초점을외향적인사역은전도의수단이있다.

소규모 교회는 안으로 집중하기 쉽다. 이는 우리가 주일 성경공부에 참석하거나 우리 옆에 앉아 있는 사람과 친해질 때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머지않아 이러한 만남이 우리의 주요 초점이 되고 우리는 교회의 벽 너머로 나가는 것을 잊게 된다. 교회 규모와 관계없이 모든 교회는 의도적으로 밖으로 나가야 한다.

오클랜드 연합감리교회의 사례로 돌아가서, 이 교회가 참여하는 모든 많은 사역 중에서, 단지 두세 개만이 교회 건물 안에서 일어난다. 오클랜드는 교회 건물의 벽 너머로 지역 사회에서 가장 많이 드러난다. 오클랜드 연합감리교회의 평신도 지도자와의 만남에서, 그 자리에 있던 모든 사람은 그들의 교회를 넘어 지역 공동체에 교회가 존재하고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에 그들이 교회의 교원이 되었다고 말했다.

4. 함께사역하는것은혼자하는것보다많은영향을미친다.

개 교회는 너무 자주 지역 사회의 다른 교회들과 경쟁하는 것처럼 느낀다. 예를 들어, 오클랜드 연합감리교회는 인구 3,045명의마을에 있는 13개의 신앙 공동체 중 하나이다. 함께 성취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생각하는 대신, 이 교회들은 종종 혼자 그것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것은 일반적으로 소규모 교회가 자원을 가장 잘 활용하지 못하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경우, 개별 교회는 단독으로사역해서는 지역 사회의 다른 사람들과 협력함으로써 할 수 있는 것만큼 영향력을 끼칠 수 없다. 예를 들어, 여러분의 교회에서새로운 급식 사역을 시작하는 대신 여러분의 교회가 지역 사회의 다른 교회가 주최하는 급식 사역에 참여하는 것은 어떨까? 목표는 우리 교회 사역이 중점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협력해서 사역함으로써 자원이 전인적으로보다 효과적으로 섬기는 방식으로 함께 합쳐질 수 있다. 그리고 지역 주민은 기꺼이 협력하고 지역 사회의 필요에 초점을 맞추는교회로 이끌릴 수 있다.

교회의 규모가 이웃과의 관계를 맺는 능력에 있어 결정적인 요소일 필요는 없다. 틈새시장을 찾고, 평신도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교회 밖에 집중하고, 협력하는 데 의도적인 작은 교회는 큰 교회만큼 중요할 수 있다.

 

데이비드 길모어(David Gilmore)는 연합감리교회 미주리 연회의 하트랜드 지방 감리사이다. 이전에 그는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에 있는 역사적인 흑인 교회 3곳에서 목사로 섬겼으며 4년 동안 뉴욕 연회에서 회중개발책임자로 봉사했다. 길모어 목사는   미해군에서 20년 동안 근무한 후 목회를 시작했다.

오천의 목사는 한인/아시아인 리더 자료를 담당하고 있는 연합감리교회 정회원목사이다. [email protected]나 615) 742-5457로 연락할 수 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