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가 무엇을 입고, 입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한 12가지 간단한 규칙

사진: 캐서린 배리,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사진: 캐서린 배리,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연합감리교회 예배 페이스북 그룹에서 연합감리교회 목회자들의 복장에 대해 간단하고 직접적인 지침을 제공해달라는 요청이있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회 자료의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아래 목록을 작성했다. 질문이 있으면 언제든지 [email protected]로 연락하라.

대부분의 경우에 대한 12가지 간단한 규칙

1. 감독이 아닌 이상 보라색 목회자 셔츠를 입지 말라. 아래 #10을 참조하라.

2. 연합감리교에서 안수(Ordination)를 받지 않은 경우 스톨을 착용하지 말고, 착용하는 스톨이 자신의 직분(집사 목사 또는 감독을 포함한 장로 목사)에 맞는지 확인하라. 위임식에서 평신도 사역자 스톨을 받은 평신도 사역자들도 위임 규정에 따라 스톨을 계속 착용할 수 있다. 아래 #12도 참조하라.
3. 장백의(목회자가 입는 긴 예복)는 목회자가 “선호하는” 예복이다(연합감리교회 직분에 따름). 이것은 부분적으로 목회자와 평신도가 모두 하얀색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얀색 가운은 기본적인 세례복이다. 예복이나 가운이 아닌 스톨은 안수의 표시이다.
4. 연합감리교 목회자는 “카속(Cassock)”을 입지 않는 경향이 있다. 카속은 기본적으로 매일 일과에 따라 기도할 때 사용하는 수도원의 의복이었기 때문이다. 연합감리교와 관련된 몇 가지 수도회(성 누가 수도회킬데어의 성 브리지드 수도회)가 있지만 대부분의 교회에는 “매일 일과”에 따라 드리는 예배가 없다. 여러분이 원한다면 카속을 입을 수는 있지만, 그것은 대부분 사람이 카속이 무엇인지를(그들은 그것이 합창단 가운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음 - #5 참조) 또는 여러분이 카속을 입지 않는 이유를 알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카속을 입는 목적인 매일 일과에 맞게끔 여러분이 카속을 입을 기회가 많지 않을 것이다.

5. 성가대 가운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일부는 카속(cassock )및 중백(surplice)이고 다른 일부는 기본적으로 로브/가운 형태이다. 교인이 꼭 입어야 하는 스타일에 대한 규칙은 없다.

6. 대부분의 연합감리교 목회자는 제의복(Chasuble)을 사용하지 않는다. 제의복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면, 이것은 주로 성만찬의 감사기도 동안 사용하기 위한 의복이라는 것을 기억하라. 여러분은 아마도 헌금 시간 동안 성찬 테이블을 준비하는 과정의 일부로 제의복을 놓을 것이다. 그런 다음 축도를 할 때까지 그대로 놓아두라.

7. 여러분의 장백의가 어떻게 맞는지에 따라 띠(Cincture)가 필요할 수도 있고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연합감리교에서 띠는 상징적이기보다 기능적이다. 실제로 장백의을 흐트러지지 않게 조이는데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만약 띠를 사용한다면, 일 년 내내 쓸 수 있는 하얀색을 사용하거나, 교회력에 따른 절기의 색상과 조화를 이루는 띠를 사용할 수 있다.

8. 연합감리교회는 누가 가슴에 십자가를 착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특별한 지침이 없다. 준회원 허입(안수 전에 준회원으로 시작하는 연합감리교의 독특한 의식)된 목회자에게 주어질 수 있으며, 평신도도 착용할 수 있다.

9. 성의(Scapular)는 평신도나 목회자라면 누구나 장백의 위에 착용할 수 있다. 성의는 어떤 직분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일꾼”이라는 표시이다. (이는 수도승들이 들판에서 수확한 것을 모으는 데 사용하는 앞치마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성의는 교회력 절기의 색상과 조화를 이룰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성의는 일종의 “미니 제의복”이 아니며, 스톨(안수받은 경우)이나 제의복(성찬 집례인 경우)을 대신하는 것도 아니다.

10. 연합감리교회의 감독들은 특별한 예전복이 없다. 그들은 감독의 역할을 위해 추가로 위임된 장로 목사들이다. 감독들은 장백의나 로브에 바느질로 달 수 있는 감독 방패/표지판을 받는다. 감독 휘장이 포함된 일부 스톨도 있다. 목회자 셔츠는 전례복이 아니라 작업복이라는 것을 기억하라.

11. 성직칼라(Clergy Collar)를 착용할지 말지는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아프리카와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 많은 목회자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성직칼라를 입는다. 아시아의 다른 지역보다 필리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반적으로 미국 연합감리교회 목회자들 사이에서는 흔하지 않지만,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곳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목회자가 젊어 보이거나 여성이 성직칼라를 착용하면 병원, 감옥, 교도소 및 기타 기관에 방문하는 이유에 대해 질문을 받지 않는다. “탭(셔츠에 끼워 넣는)” 또는 “전체”(성공회 혹은 목 전체를 두르는) 칼라 스타일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것을 사용하라.

12. 본처목사, 준회원, 안수받은 집사 혹은 장로 목회자이든, 모든 목회자는 연합감리교회에서 성직칼라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안수받은 집사와 장로 목사(감독 포함)만이 스톨을 착용하고, 그 다음에는 자신의 직분에 적합한 스톨만 착용해야 한다.

제자사역부 예배팀의 허가를 받아 연합감리교회자료에 게시되었다. 

영문으로 읽기(Read In English)

오천의 목사는 한인/아시아인 리더 자료를 담당하고 있는 연합감리교회 정회원 목사이다. [email protected]나 615) 742-5457로 연락할 수 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