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태그는 소셜 미디어의 영역을 넘어 일상적인 대화로 옮겨가면서 대중문화의 일부가 되었다. 기본적으로 해시태그는 소셜 미디어에서 공통 주제에 대한 대화나 포스트를 찾도록 해시 또는 우물정(#)이 앞에 붙은 단어 또는 문장이다. 이는 앞서 언급한 대화를 검색하고 참여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소셜 미디어 채널 전반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해시태그를 활용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위터나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해시태그를 사용할 때, 아래의 가장 잘 사용하는 법을 이해하고 따르는 것이 좋다.

간결한 것이 좋다.
#긴해시태그는읽기가더어렵다. 이 문장이 이해하기 쉬운가? 이해하기 어렵다. 해시태그에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있는 경우 최소한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작성하라. 긴 해시태그도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최대 2~4개 단어로 유지하라. 트위터를 사용할때는 짧게 유지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너무 많이 사용하지 말라.
게시물 하나에 해시태그를 3개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일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는 이 숫자를 초과해도 괜찮기도하다. 게시할 소셜 미디어에서 허용하는 범위를 먼저 알아보아야 한다.
일관되게 하라.
해시태그는 관련 포스트나 콘텐츠를 찾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동일한 콘텐츠에는 동일한 해시태그를 사용해야 한다. 한 게시물에는 #UMM을 사용하고 다른 게시물에는 #UMMen을 사용하지 말라. 그렇게 섞어 놓으면 사람들은 대화의 일부만 찾아볼 것이다.
유머가 먹힌다!
유행하거나 유머러스한 해시태그는 사람들이 다시 들여보도록 만든다. 예를 들어 고스트존웨슬리(@GhostJohnWesley)가 트위터(현재 X)에서 #GhostProbs에 대해 정기적으로 트윗하는 것을 볼 수 있다. #CatchGodsWave는 여름성경학교를 홍보하는 흥미로운 해시태그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올바른 맥락에서 해시태그를 사용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우리와함께예배해요T(#Tworship with us)”는 트위터에서 초대용 해시태그로 사용할 수 있지만 교회 천막에는 적합하지 않다.
해시태그가 아닌 여러분의 콘텐츠가 핵심이다.
트위터에는 글자 수가 제한되어 있다. 해시태그를 달지 말지를 걱정하기 전에 여러분의 글을 완성하는 게 중요하다. 의미가 없는단어와 글귀에 해시태그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모든 게시물에 해시태그를 사용하지 말라.
해시태그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그 의미가 희석된다. 여러분이 항상 동일한 주제에 대해 게시하는지 팔로워는 이미 알고 있다.
일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는 해시태그를 주로 게시물의 제목 태그로 사용한다. 이러한 플랫폼에서는 해시태그를 더 자주 사용해도 괜찮을 수 있다.
사람들이 검색하는 것을 활용하라.
사람들이 여러분의 콘텐츠를 찾거나 해시태그를 팔로우하도록 하려면 해당 해시태그가 그들이 검색하는 것이어야 한다. 여러분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해시태그를 사용하라. 일반적인 목회 사역 해시태그의 유용한 목록을 확인해보라.
여러분이 해시태그를 결정한 후, 홍보하라. 다른 수단을 통해서도 사람들에게 해시태그에 대해 알려야 한다. 예를 들어, 교회 행사에 대한 해시태그를 만든 경우 모든 행사 자료와 게시판에 해시태그를 넣어 행사 참석자와 교회 방문자가 이를 팔로우하고 트위터, 인스타그램 혹은 다른 플랫폼이든지,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라.
사용하기 전에 해시태그를 확인해 보라.
게시하기 전에 생각 중인 해시태그를 검색해 보라. 다른 사람이 이미 다른 목적으로 그것을 사용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역 선교 행사에 #선교홀빌(#MissionWhoville)을 사용하려고 계획했을 수 있다. 그 지역의 다른 교회나 비영리 단체가 프로그램에 똑같은 해시태그를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2023년연회(#AC2023)를 보면 약간 헷갈리기도 한다. 이 해시태그는 연회2023(Annual Conference)을 의미하는가? 아니면,문화인류학대회(Anthro-Con 2023)를 의미하는가?
공백과 기호를 사용하지 말라.
대부분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해시태그에 공백이나 특수 문자를 포함해서 안 된다. 해시태그를 사용하려는 모든 플랫폼의 규칙을 알아 두는 게 좋다. 확실하지 않은 경우 공백과 기호를 사용하지 말라.
기억에 남도록 만들라.
사람들은 여러분의 해시태그를 기억하지 못하면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해시태그가 콘텐츠와 명확하게 일치하는지 확인하라. 이렇게 하면 다른 사람들이 동일한 해시태그를 사용하여 대화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주일 내내 설교가 전달되도록 다가오는 설교 시리즈에 대한 해시태그를 만드는 것을 고려해 보라. 물론, 주일예배 때 해시태그를 사용하는 것은 조금 뜬금없을 수도 있다.
소셜 미디어에서 더 많은 사람이 여러분의 포스트를 찾아보길 원한다면, 해시태그(#)를 가장 잘 사용하는 법을 잘 기억하라. 이는여러분의 영향력을 널리 퍼트리고 다른 사람들의 참여를 장려할 것이다.
앤드루 슐라이허(Andrew J. Schleicher)는 연합감리교회 공보부의 마케팅 및 영업 부문 선임 전문가이다.
오천의 목사는 한인/아시아인 리더 자료를 담당하고 있는 연합감리교회 정회원 목사이다. [email protected]나 615) 742-5457로 연락할 수 있다.